La Tercera
Nacional
Estudiantes logran masiva marcha reflotando las demandas de 2011
(대규모 학생 운동, 2011년의 요구를 불러일으키다)
+추가설명) 2011년 칠레 학생 시위는 칠레 역사에 길이 남을 운동 중의 하나였습니다.
교육 기회에 대한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시작된 학생 운동은 전국적으로 20만명이
참가한 것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상세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iscenter.or.kr/blog/2016/02/04/%EB%9D%BC%ED%8B%B4%EC%95%84%EB%A9%94%EB%A6%AC%EC%B9%B4/
Al inicio de la semana el gobierno
intentó neutralizar las consignas que
el movimiento
estudiantil había levantado para convocar
a la primera marcha del año y de
la administración del Presidente Sebastián
Piñera. Pero la alta convocatoria
dio
cuenta de que ese objetivo no se cumplió al 100%.
El lunes, el Mandatario firmó el
proyecto que adelanta la gratuidad para
los
estudiantes del séptimo decil que asisten a IP y CFT, y en su discurso
aseguró
que “la gratuidad ha llegado para quedarse y no habrá lucro”.
El mensaje había sido claro y
destacado en la gran mayoría de los medios de
comunicación. El gobierno se
había anotado un punto para neutralizar
ante
la opinión pública el llamado a marchar. Pero el martes el panorama
cambió,
y fue el propio ministro de Educación, Gerardo Varela, quien cometió un
error
que nuevamente encendió las críticas de los dirigentes al afirmar que “si yo
legislara no pondría penas de
cárcel para la gente que gana plata”.
Así, los estudiantes salieron a las
calles con pancartas que aludían al lucro
en educación y al ministro Varela. Según los dirigentes hubo más de 120 mil
participantes, pero la Intendencia cifró la adhesión a la marcha en 30 mil
personas.
Los dirigentes apuntan a una revitalización,
que según la síntesis de la última
sesión de la Confech, era necesaria: “Se plantea
la necesidad de revitalizar
el movimiento estudiantil ya que para algunos
estudiantes las movilizaciones
han perdido el sentido y fuerza de antes (…)
debemos hacernos cargo del recambio
generacional y de los problemas de
participación y desgaste propios de
nuestro estamento”.
El presidente del Colegio de
Profesores, Mario Aguilar, destacó que “se produjo
una revitalización del
movimiento social. Los distintos sectores que lo componen,
más allá de las diferencias,
deben seguir impulsando transformaciones profundas
en la sociedad”.
Esta conclusión no es compartida por
José Joaquín Brunner, investigador de
la U. Diego Portales (UDP) y ex ministro
de la Concertación, quien plantea que
“no me parece que haya sido un éxito ni
que haya tenido gran masividad esta marcha”.
Y dijo que los dirigentes tienen
el deber de explicar a la ciudadanía por qué se movilizan.
“Las familias no
entienden por qué la gratuidad no es la gratuidad que ellos querían
o por qué
no están conformes con las herramientas que se generaron para controlar
el lucro”.
Si bien Juan Pablo de la Torre, presidente de la Feusach, plantea que la
marcha
fue un éxito, dice que “queremos más, necesitamos más masividad. Quedó
claro
que el ministro estaba equivocado, sí es tiempo para marchar y sí hay
razones para hacerlo”.
El dirigente reconoció que “ya no es
tan simple la discusión ante la opinión pública,
porque las reformas de la
Nueva Mayoría trataron de dar por cerrado el ciclo,
pero se hicieron mal y por
eso seguimos en las calles”.
Para Rodrigo Rivera, presidente de
la Federación de Estudiantes de la UDP,
“no se ha logrado acabar con el endeudamiento por el CAE. Si la gente sale
a
la calle es porque siente en carne propia
el conflicto y se dan cuenta que
las consignas de 2011 continúan vigentes”.
Desde el interior del movimiento hay
críticas hacia los dirigentes de 2011.
Amanda Luna, vocera de la Aces, afirmó
que “el movimiento estudiantil
de 2011 fracasó porque llevó una lucha que
estaba en la calle al Congreso,
pero nosotros somos nuevas manos empuñando viejas banderas, no somos ilusos”.
La evaluación de la marcha es
completamente opuesta en el
oficialismo.
“La marcha de la Confech solo será recordada por su escasa concurrencia,
su falta de fundamento y su exceso de violencia”, afirmó
el diputado Diego Schalper (RN).
Y agregó que “a un mes de
iniciado el gobierno, no existe causa alguna para
justificar movilizaciones”. Y
en esa misma línea, el diputado Jaime Bellolio (UDI)
cuestionó que se utilicen
las declaraciones del ministro como un motivo para
salir a las calles. El
diputado agregó que “a mí me gustaría que la noticia en materia de
educación fuera, precisamente, el aumento en la
gratuidad en los CFT e IP,
la calidad, y no las frases desafortunadas que pueda
decir el ministro.
Hay que hacer una autocrítica, hay que mejorar la forma en
que él se está relacionando
con los estudiantes, que se está relacionando con
la prensa, de manera que
no cometamos
esos errores”.
피녜라 새 정부가 들어선 이 후, 예고되었던 학생 운동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정부는 기술 전문 학교 무상화 교육 조치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학생
입장을 납득시키기에는 부족했다.
월요일, 대통령은 하위 소득 70%학생이 기술 전문 학교인 IP와 CFT에서 무상 교육을
받도록 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이에 대해 “무상 교육은 정착했고, 그 곳에 사적인
이익은 없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의 메시지는 명확했고 이는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었다. 정부는 학생 운동을
잠재우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화요일 모든 것이 바뀌었다. 교육부 장관인
Gerardo Varela의 발언은 학생 운동에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만약 내가 법률을 제정한다면, 돈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위해 투옥 시키지 않을 것이다.”
학생들은 거리로 나왔고, 교육의 민영화와 Varela 교육부 장관을 비판하는
플래카드를 들었다. 대표자에 따르면 12만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했다고 주장했고,
당국은 3만명이 참여했다고 추산했다.
학생 대표는 Confech (칠레 학생 연맹)의 최근 발표를 통해 학생 운동의
재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 운동의 재활성화가 필요하다.
몇몇 학생 운동은 그 본래의 의미를 잃었지만 (…) 세대적인 새로운 변화, 사회적
문제 해결, 불평등을 타파하기 위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Mario Aguilar 교사는 “사회 운동의 활성화는 깊숙이 묻힌 문제들을 꺼내어
변화시키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Diego Portales 대학교 연구원인 José Joaquín Brunner는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학생 운동이 성공했다고 보지도 않고, 수 많은 학생들을 이끌어낼 수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학생 대표들은 운동의 시민들에게 운동의
당위성을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무상 교육이 왜 학생들이 바라는
무상 교육 체계가 아닌지 이해하지 못한다. 학생들은 새로운 시스템에 왜 만족하지
않는지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칠레 산티아고 대학교 학생 연맹(Feusach)의 회장인 Juan Pablo는 학생 운동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교육부가 실수한 것은 명백하다. 우리는 행진해야 한다. 우리는 운동에 참여해야
할 이유가 분명하다”고 말했다.
학생 대표는 “공동의 의견과 조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여당의 교육 개정안은
사회 계층 이동을 저하시키려 한다. 따라서 우리는 거리로 나왔다.”고 덧붙였다.
UDP 학생 연명의 대표인 Rodrigo Rivera는 “CAE에 진 채무를 아직 끝내지 못했다.
사람들이 거리로 나온다면, 그것은 그들이 사회적 문제를 느꼈기 때문이고, 2011년
대규모 운동에 따른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학생 운동 내부에서 2011년 학생 운동 대표들에 대한 비판 또한 존재한다. Aces의
대변인인 Amanda Luna “2011년 학생 운동은 실패했다. 그들은 의회로 가는 길에서
폭력이 발생했다. 우리는 기성 학생들의 운동 세력을 밀어내고 새로운 학생 세력으로
나아갈 것이다.”고 주장했다.
학생 운동에 있어 관료들은 대척점에 서있다. “Confech의 행진은 몇몇 학생들의
미약한 행진에 그칠 것이다. 그들은 행진 중의 과격한 행동으로 인해 지지 받을 수
있는 튼실한 기반을 형성하지 못했다.”고 Diego Schalper 의원은 지적했다.
이어서 “새 정부가 출범한지 이제 한 달이 지났다. 학생 운동을 촉발시킬 만한 그 어느
무엇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같은 선상에서 Jaime Bellolio 의원은
교육부 장관의 발언을 거리 행진을 위한 하나의 명분으로 삼은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가졌다. “개인적으로 기술 전문 학교인 CFT와 IP의 무상 교육을 환영한다. 장관의
발언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자기 자신을 되돌아 보아야 한다. 우리는
장관이 언론을 통해 학생들과 어떻게 협력해 나아갈 것인지 지켜보아야 한다.
우리는 다시는 같은 실수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reflotar
|
refloat, 다시 띄우다
|
la consigna
|
order, slogan
|
convocar
|
to call, convene
|
la convocatoria
|
call
|
adelantar
|
to pass, overtake
|
anotar
|
to note down, to score
|
afirmar
|
to assert
|
legislar
|
to legislate, 법률제정하다
|
pena de cárcel.
|
imprisonment
|
aludir
|
to allude to, 암시하다
|
la síntesis
|
summary, synthesis, 합성
|
plantear
|
to suggest, bring up
|
desgastar
|
to wear away
|
el estamento
|
startum
|
estar conforme con
|
to agree
|
la herramienta
|
tool
|
si bien
|
although
|
el enduedamiento
|
indebtedness, 부채, 은혜
|
empuñar
|
to grasp
|
iluso
|
naive, dreamer
|
opuesto
|
opposite
|
la concurrencia
|
audience, turnout
|
el fundamento
|
foundation
|
agregar
|
to add
|
en materia de
|
in terms of
|
la prensa
|
press
|
cometar
|
to commit
|
※ 본 기사는 La Tercera의
"Estudiantes logran masiva marcha reflotando las demandas de 2011"를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부분에 대해 피드백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Fuente
http://www.latercera.com/nacional/noticia/estudiantes-logran-masiva-marcha-reflotando-las-demandas-2011/138864/